Docker Container 실행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1. Dockerfile을 build 하여 image로 만든 다음 실행
2. 기존에 생성돼있는 image를 pull하여 실행
...
1. Dockerfile을 build 하여 image로 만든 다음 실행

- docker build [option] 이미지명 : dockerfile이 있는 경로로 이동 후 설정한 이미지명으로 build
- docker images : 이미지가 생성됐는지 확인 가능

- docker run [option] image명 :
-d : 데몬 형태로 띄움 (컨테이너 유지됨)
-p : 포트 지정
- docker ps : 띄워진 컨테이너 확인
2. 기존에 생성돼있는 image를 pull하여 실행
- dockerhub에서 생성할 이미지 찾기 (httpd로 진행)


- docker pull [image]
- docker images : 만들어진 이미지 확인
- docker run -p 8080:80 httpd : 만들어진 이미지 httpd, 8080 포트로 컨테이너 실행


- docker stop 컨테이너 ID : 실행된 컨테이너 중지
잘 되는 듯
이미지라는 형태로 갖다쓰니까 정말 별거 안했지만 벌써 편한게 느껴지는 느낌이랄까,,
제대로 된 프로그램은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궁금해진다.
열심히 알아보자,,!
Docker Container 실행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1. Dockerfile을 build 하여 image로 만든 다음 실행
2. 기존에 생성돼있는 image를 pull하여 실행
...
1. Dockerfile을 build 하여 image로 만든 다음 실행

- docker build [option] 이미지명 : dockerfile이 있는 경로로 이동 후 설정한 이미지명으로 build
- docker images : 이미지가 생성됐는지 확인 가능

- docker run [option] image명 :
-d : 데몬 형태로 띄움 (컨테이너 유지됨)
-p : 포트 지정
- docker ps : 띄워진 컨테이너 확인
2. 기존에 생성돼있는 image를 pull하여 실행
- dockerhub에서 생성할 이미지 찾기 (httpd로 진행)


- docker pull [image]
- docker images : 만들어진 이미지 확인
- docker run -p 8080:80 httpd : 만들어진 이미지 httpd, 8080 포트로 컨테이너 실행


- docker stop 컨테이너 ID : 실행된 컨테이너 중지
잘 되는 듯
이미지라는 형태로 갖다쓰니까 정말 별거 안했지만 벌써 편한게 느껴지는 느낌이랄까,,
제대로 된 프로그램은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궁금해진다.
열심히 알아보자,,!